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오늘 팩트맨은 백신 접종과 관련된 시청자 궁금증 위주로 따져보겠습니다.<br><br><br><br>먼저 백신 맞은 후 고혈압이나 당뇨약 먹어도 될까요? <br><br>전문가들은 기저질환 때문에 고혈압, 당뇨 관련 약을 먹고 있어도 접종 전후 약을 중단하거나 변경할 필요 없다 말합니다. 백신 임상에 만성질환자도 포함됐고, 유효성·안전성, 크게 다르지 않았단 거죠.<br><br>소염제는 어떨까요. 소염제 먹으면 백신 효과를 떨어트릴 수 있단 보도도 있었죠.<br><br>최근 예일대 연구진이 통증·염증 완화에 자주 쓰는 "NSAIDs(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)가 코로나19 백신 면역 반응을 변화시킬 가능성 있다" 언급한 건 맞지만<br><br>임상시험으로 증명된 건 아니고 아직, 이론적 가능성인데요.<br><br>접종 전 NSAIDs라고 부르는 형태 소염제. 불가피한 경우는 제외하고 중단할 수 있으면 중단하는 게 도움 될 수 있습니다. <br><br>접종 후 이상 반응이 있다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진통제 등 복용 가능합니다.<br><br>단, 미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진통제를 "접종 전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는 먹지 말라" 권고합니다.<br><br><br><br>백신 부작용 관련 문의도 살펴볼까요. "백신 맞고 미용 주사 맞아도 되냐, 이미 미용 주사 맞았는데 괜찮냐"는 건데요.<br><br>앞서 보고됐던 부작용 사례는 모더나 백신 임상 사례였습니다. 접종 전후 필러를 맞은 부위에 염증 반응이 나타난 경우 있지만 3만 명 중 3명이고, 치료 가능한 수준이었죠. 미용 주사. 금기는 아니지만 관찰은 필요합니다.<br><br>이밖에 예상할 수 있는 이상 반응 있습니다.<br><br>아스트라제네카, 화이자 임상 결과에서 나타난 접종 부위 통증인데요. (화이자 접종부위 통증 84.1%,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부위 압통 60% 이상)<br><br>통증엔 온찜질 냉찜질 뭐가 좋을까요. 깨끗한 수건을 차갑게 적셔 접종 부위에 대거나 팔을 움직이는 게 좋습니다.<br><br>최소 3일간 관찰이 중요한데요. 39도 이상 고열,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<br><br>서상희 기자<br>with@donga.com<br>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<br>그래픽 : 장태민, 박소연 디자이너